1952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에서 태어나 지금까지 거주 및 작업하고 있는 래리 피트먼은 한 세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오랜 기간 경력을 쌓으며 그만의 독특한 시각 언어를 구축해 오고 있다. 종, 알, 동물, 그리고 밧줄과 같은 기호와 상징으로 밀도 높게 짜인 피트먼의 조형 어휘와 다양한 회화 기법을 아우르는 그의 화풍은 수공예, 장인 정신, 그리고 장식 미술에 대한 뚜렷한 오마주를 담고 있다. 피트먼은 색채와 텍스트, 이미지 사이, 풍경과 장식 사이, 그리고 질서와 무질서 사이의 긴장감을 놀라운 솜씨로 조율하며 복잡한 구성을 만들어 내는데, 작가의 이러한 역량은 각각의 요소를 넓은 화면에 채워 넣는 동시에 공간감과 무게감을 균일하게 부여한다.
1970년대 중반, 피트먼은 캘리포니아주 발렌시아의 캘리포니아 예술학교에서 수학하며 순수예술 학사와 석사 학위를 받았다. 피트먼이 다닌 학교는 여성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며 전통적으로 여성과 관련된 예술형식을 폄하해온 시각에 도전했고, 그는 이러한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미학적 체계를 무너뜨리고 장식 미술을 포용하는 데 관심을 키웠다. 장식 미술을 향한 피트먼의 열정은 그의 수많은 작업 전반에 드러나며, 마침내 고유한 시각 언어로 자리 잡았다. 그의 초기 작품은 에이즈 위기, 인종 간 갈등, 성 소수자의 시민권처럼 20세기 후반을 뒤흔든 사회 정치적 투쟁을 다루고 있으나, 그의 최근 회화 작업은 외면과 내면세계를 주제로 한 실내 공간으로 전환하는 양상을 보인다.
피트먼은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에서 1974년 학사와 1976년 석사를 마쳤다. 그는 리만머핀 뉴욕(2023, 2020)과 서울(2022)을 포함한 전 세계 주요 미술관 및 기관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멕시코 멕시코시티 후멕스 미술관(2022), 미국 로스앤젤레스 해머 미술관(2019, 1996), 캘리포니아 산마리노 더 헌팅턴(2016), 세인트루이스 현대미술관(2013), 프랑스 디종 르콩소르시움(2013), 니스 빌라 아르송(2005), 미국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미술관(LACMA, 1996), 휴스턴 현대미술관(1996), 워싱턴 D.C. 코코란 미술관(1997), UC 산타바바라대학교 미술관(1996)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다수의 단체전에서 소개되었으며, 대표 전시로는 서울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의 《APMA, Chapter Three》(2021), 미국 로스앤젤레스 더 브로드의 《Invisible Sun》(2021), 시카고 현대미술관의 《Duro Olowu: Seeing Chicago》(2020), 로스앤젤레스 레드캣(REDCAT) 아트센터의 《50 + 50: A Creative Century from Chouinard to CalArts》(2020), 미국 샌안토니오 루비 시티의 《Waking Dream》(2019), ICA 보스턴의 《Less Is a Bore: Maximalist Art & Design》(2019), 스키드모어칼리지 탱 교육 박물관 및 미술관의 《Give a Damn.》(2018), 뉴욕 현대미술관(MoMA)의 《The Long Run》(2017),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SFMOMA)의 《Between Two Worlds: Art of California》(2017), 로스앤젤레스 더 브로드의 《Inaugural Installation》(2016),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의 《The Art of Our Time》(2015), 로스앤젤레스 웨스트 할리우드 도서관 및 원아카이브 갤러리(2015)에서 타코마 미술관(2015), 케네소 주커만 미술관(2016), 뉴욕 브롱스 미술관(2016), 시카고 알파우드 갤러리(2017)로 순회한 《Art AIDS America》, 뉴욕 휘트니미술관의 《America is Hard to See》(2015), 시카고 현대미술관의 《Earthly Delights》(2014) 및 볼룸 마파(2013)와 콜럼버스 웩스너 아트센터(2014)의 《Comic Future》를 들 수 있다. 1997년 독일 카셀 documenta X 와 휘트니 비엔날레(1985, 1993, 1995, 1997)를 포함한 대형 국제전에도 지속적으로 참여해왔다.
피트먼의 작품은 오하이오주 애크런 미술관, 뉴욕주 버팔로 올브라이트 녹스 미술관, 대한민국 서울 아모레퍼시픽미술관, 대한민국 광양 전남도립미술관, 일리노이주 시카고 아트 인스티튜트,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더 브로드,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 카네기 미술관, 이탈리아 토리노 산드레토 레 레바우덴고 재단, 독일 뮌헨 괴츠 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해머 미술관, 매사추세츠주 케임브리지 하버드 미술관, 중국 상하이 롱 뮤지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현대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마르시아노 예술 재단, 일리노이주 시카고 현대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멕시코 몬테레이 현대미술관, 뉴욕주 뉴욕 현대미술관, 워싱턴 D.C. 국립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뉴포트비치 뉴포트 하버 미술관, 캘리포니아주 뉴포트비치 오렌지 카운티 미술관, 캘리포니아주 팜스프링스 미술관, 캘리포니아주 산타모니카 피터 노턴 재단, 애리조나주 피닉스 미술관,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로드아일랜드 스쿨 오브 디자인 미술관, 매사추세츠주 왈뎀 브랜다이스 대학교 로즈 미술관, 독일 뮌헨 잠룽 괴츠,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 현대미술관, 캘리포니아주 샌타바버라 미술관, 네브래스카주 링컨 셸던 미술관, 뉴욕주 새러토가 스프링스 스키드모어 칼리지 탕 교육 박물관,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즈버러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위더스푼 미술관, 뉴욕주 뉴욕 휘트니 미술관, 그리고 코네티컷주 뉴헤이븐 예일 대학교 미술관을 포함한 다수의 공공 및 사립 기관에 소장되어 있다.